반응형

Props
'props'는 properties를 의미한다.
부모 컨트롤러에서 자식 컨트롤러로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.
매개변수에 각각의 변수들을 미리 입력해줌으로써 변수명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다.
- props 비구조 할당
매개변수에 각각의 변수명을 넘겨주지만 이를 비구조 할당으로 넘기려면
<javascript />
const {title,name,age,addr,tel,color,done} = props
로 입력해주면 된다.
또한 제일 기본적인 것은
<javascript />
const Test6Sub = (props) => {
의 경우, props.name 또는 props.age처럼 앞에 props로 붙여줘야 한다.
- propType - 데이터 유형 정의
<javascript />
Test6Sub.propTypes = {
name: PropTypes.string.isRequired,
age: PropTypes.number.isRequired,
addr:PropTypes.string,
}
각 변수들에 대해 사용할 데이터 유형을 정의해준다.
string은 문자, number는 숫자, bool은 boolean이다.
isRequired는 필수적으로 값을 입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.
각각의 값들에 정의를 해줌으로써 부모 컴포넌트에게 받는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.
- defaultProps - props의 기본값
<javascript />
Test6Sub.defaultProps = {
name:'이태민',
age:30,
addr:'대한민국',
}
export default Test6Sub;
defaultProps는 기본 디폴트 값을 설정해준다.
컴포넌트에서 값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입력한 기본값이 나오게 된다.
마지막으로 해당 폴더를 외부에서 호출하기 위해 export 해준다.
Test6.js
props로 값을 넘겨주기 위해 입력한 부분이다.
<javascript />
import React from 'react';
import Test6Sub from './Test6Sub';
const Test6 = () => {
return (
<Test6Sub
title = '황민현 정보'
name = '황민현'
age = {20}
addr = '서울'
/>
);
};
export default Test6;
Test6Sub함수를 호출하여 그 안에 각각의 값을 입력해준다.
'황민현'의 경우 모든 값을 다 입력해주었지만
이외에 입력해주지 않은 부분은 props에 defaultProps로 지정해준 기본값이 나오게 될 것이다.
4월 14일 수업 🌕
반응형
'개발 교육 TIL > front-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Node.js(Express)와 React 연동 (2) | 2022.04.29 |
---|---|
[React] Visual Studio Code 설치, es6(ecmascript)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(0) | 2022.04.13 |
[Node.js] View Template(뷰템플릿) - ejs 사용하기 + jade (0) | 2022.04.08 |
[Node.js] Semantic-Ui 라이브러리 적용하기 (0) | 2022.04.07 |
[Ajax] Ajax로 게시판 / 방명록 만들기 (jQuery, JSP) (0) | 2022.03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