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Github 저장소를 Clone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!
Github 저장소 복제
복제하려는 저장소에 들어가서 'Code' 버튼을 누른 후 해당 주소를 카피한다.
// HTTPS 형식
https://github.com/[USER_NAME]/[REPOSITORY_NAME].git
USER_NAME: 깃허브 사용자명
REPOSITORY_NAME: 깃허브 저장소명
git clone 명령어
$ git clone [REPOSITORY_URL] [DIRECTORY]
[REPOSITORY_URL]: 클론할 저장소 주소
[DIRECTORY]: 저장소를 복제할 위치
- 특정 브랜치만 복제
$ git clone --branch [TAG] [REPOSITORY_URL]
[TAG]: 특정 브랜치명
명령어 실행하기
이제 복사한 repository를 가져올 차례다.
먼저 터미널에서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
그 다음 위의 명령어에 따라 입력해준다.
이미 디렉토리로 이동했기 때문에 [DIRECTORY]는 생략하였다. 보통 생략해서 사용한다.
클론한 저장소 확인하기
$ git remote -v
터미널에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보면, 원격 저장소가 잘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remote: Invalid username or password 에러 해결 방법 (2) | 2022.07.06 |
---|---|
[Git] ! [rejected] main -> main (fetch first) 에러 해결 방법 (1) | 2022.06.25 |
Github에서 README.md 파일 작성하기 (마크다운 문법, 파일 업로드) (0) | 2022.06.12 |
.gitignore 알아보기 (+사용법) (0) | 2022.06.05 |
깃(Git) 그리고 깃허브(GitHub)란? (0) | 2022.06.04 |